🤧 감기약 종류, 알고 먹자! 증상별 추천 성분 & 주의사항 총정리
감기 걸렸을 때 약국 가면 너무 다양한 약이 보여서 고민되죠. 기침, 콧물, 열, 몸살… 그때그때 증상에 맞는 약을 정확히 알고 복용하는 게 중요해요.
그리고 특히 어느 증상에 어느 병원을 가야할 지 고민되는데,
오늘은 간호사 관점에서, 약국에서 쉽게 살 수 있는 감기약 성분과 역할을 총정리해드릴게요. 특히 노약자, 임산부, 어린이 주의사항도 꼭 함께 확인해보세요.
🌡️ 1. 해열·통증: 아세트아미노펜, 이부프로펜
- 아세트아미노펜 (ex. 타이레놀): 열과 통증을 완화, 위장 자극 적음
- 이부프로펜 (ex. 부루펜): 항염 작용까지 있어 편도염, 인후통 등 염증성 감기 증상에 유리
👉 주의: 위염 있는 분, 공복 시 복용은 이부프로펜 피하세요. 아세트아미노펜은 간질환자 주의!
💡 참고: 시중 제품 이름이 달라도 성분이 같은 경우가 많아요.
예를 들어, 타이레놀과 게보린 모두 아세트아미노펜을 포함하고 있지만 부성분이 달라요. 약국에서 구매할 땐 ‘성분명’을 먼저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해요.
⭐진통제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아래글 참고해주세요!
타이레놀 vs 이부프로펜 vs 탁센, 언제 먹어야 할까?|간호사가 알려주는 진통제 선택 가이드
💁 병원에서 제일 많이 듣는 질문 병원에서 근무하다 보면진통제에 대해 제일 많이 물어보는 것 중 하나가 이거다.“타이레놀이랑 이부프로펜 뭐가 다른가요?”그리고 더 헷갈리는 게탁센이라
www.jyejyecare.com
🤧 2. 콧물·코막힘: 클로르페니라민, 슈도에페드린
- 클로르페니라민 (ex. 페니라민정, 판콜에이): 항히스타민 성분으로 콧물, 재채기 완화
- 슈도에페드린 (ex. 코푸정): 코막힘 완화
👉 주의: 클로르페니라민은 졸음 유발 가능성 높아요. 운전 전 복용 ❌
휴식이 치료다! 졸린 약은 낮보단 밤에 복용하는 것이 좋아요.
특히 잘 수 있는 환경에서 복용하고 숙면을 취하면 증상이 많이 나아질 수 있습니다!!
😷 3. 기침: 덱스트로메토르판, 구아이페네신
- 덱스트로메토르판 (ex. 코푸시럽, 판콜에스): 마른기침 억제, 중추신경에 작용
- 구아이페네신 (ex. 뮤코pect): 가래 배출 촉진
👉 주의: 덱스트로메토르판은 어린이 과량 복용 시 부작용 가능, 용량 엄수 필수!
👶 어린이 감기약 복용 팁
어린이용 감기약은 대부분 시럽 형태이며, 체중 기준으로 용량을 맞추는 것이 핵심이에요. 예를 들어, 코푸시럽(덱스트로메토르판 성분)은 연령별로 복용량이 정해져 있으니 꼭 설명서를 확인하거나 소아과 진료를 함께 받아보세요.
💊 약국 vs 병원, 언제 진료 받아야 할까?
감기 증상이 단순하고 가벼울 때는 약국 감기약으로 대처할 수 있어요. 하지만 아래 증상이 있다면 병원 진료를 꼭 받아야 해요.
- 🔺 고열이 3일 이상 지속됨
- 🔺 누런 가래나 녹색 콧물이 오래 지속됨
- 🔺 귀통증, 흉통, 숨쉬기 불편함 등 발생
- 🔺 임산부, 70세 이상 고령자, 기저질환자
👉 어느 병원 과에 가야 할까?
증상에 따라 내과 또는 이비인후과 방문이 적절해요. 기침·열 위주면 내과, 콧물·코막힘·귀통증이면 이비인후과가 더 정확한 진단을 받을 수 있어요.
🚫 임산부·노약자 감기약 복용 시 주의!
- 임산부: 아세트아미노펜은 비교적 안전하나, 습관성 복용은 금지. 반드시 산부인과 상담 후 복용
- 노인: 항히스타민계 (클로르페니라민 등)는 어지럼증, 낙상 위험 증가
👉 이럴 땐 약국보다 병원 진료가 우선입니다.
🩺 일반의약품(OTC) vs 전문의약품
약국에서 바로 구매 가능한 감기약은 OTC(일반의약품)이고, 병원 처방이 필요한 감기약은 전문의약품이에요.
예를 들어, 코푸시럽은 OTC이지만, 더 강력한 기침 억제제(코데인 등)는 전문의 처방이 필요합니다.
성분명을 정확히 보고 복용 대상에 맞는 약을 선택하세요.
📌 마무리 TIP
- 💤 졸음 유발 성분은 꼭 밤에 복용
- 💧 충분한 수분 섭취 + 휴식은 감기 회복 속도 ↑
- 📦 약국 구매 전 약 이름, 성분표 꼭 확인
- 🧑⚕️ 약 복용 후 이상 증상 생기면 병원 방문
🚫 복용 시 피해야 할 음식 & 음료
- 🍷 아세트아미노펜 + 술 = 간독성 ↑
- ☕ 감기약 + 고카페인 음료 = 심장 두근거림, 불면증
- 🥛 항생제와 우유: 일부 항생제 흡수 방해 가능성 있음 (감기에는 항생제 사용 거의 없음)
📍 결론
감기약은 ‘아무거나 먹는 약’이 아닙니다. 내 증상에 맞는 성분을 알고 복용해야 부작용 없이 회복도 빨라요.
오늘 알려드린 약 성분과 예시 약품들은 약국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니, 꼭 참고해서 건강하게 감기 이겨내시길 바랄게요!
여름감기는 특히나 오래가죠 ㅜㅜ 면역력 꾸준히 지키셔서 모두들 건강하게 올 여름 잘 이겨내길 바라겠습니다❤️
💬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♥ 꾹 눌러주시고, 지혜롭게 사는 꿀팁 계속 알고 싶다면 구독도 부탁드려요 🙌
'건강 정보 모아 ZIP💊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🌙 열대야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|수면장애, 심장질환, 열사병까지? (72) | 2025.08.02 |
---|---|
🩸 빈혈 증상? 철분제 종류별 복용법 총정리 (56) | 2025.08.01 |
💊 인데놀·알프람·졸피뎀|불안·불면증 약 복용 전 꼭 알아야 할 점 (26) | 2025.08.01 |
🌫️ 오존주의보? 나도 모르게 노출되는 위험, 지금 확인하세요 (95) | 2025.07.31 |
🩺 고지혈증, 약 종류부터 예방 꿀팁까지 총정리 (33) | 2025.07.30 |